×
참여마당

단우게시판

소외된 소수, 그 쓰라린 실패의 아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강창구
댓글 0건 조회 3,945회 작성일 10-07-03 22:48

본문

소수를 위한 배려, 쓰라린 실패의 아픔

살다보면 스스로 부끄러워 몸서리쳐지는 일이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다.
32년도 지난 오래전의 일이지만 명분에 비해 그 실패로 인한 좌절감이 아직도 머릿속에 남아 있는 지극히 개인적이라 할 수 있는 일이 하나 있다.

1977년 대학 1학년을 마친 겨울방학 초엽에 흥사단 아카데미 동기 중 어느 여학생이 보람 있는 제안을 했다. 2개월 남짓한 방학기간 동안에 불우이웃돕기와 갱생교육을 겸할 수 있는 좋은 자원봉사처가 있으니 우리가 그 일을 한번 해 보자는 제안 이었다.
시내 변두리지역에 위치한 갱생원이었다,  지금으로 치면 홈리스들 모아서 사회적응훈련을 하는 곳이라고 볼 수 있는 곳이다. 어디서부터 무엇을 해야 할지를 몰라서 초기에 방향을 잡는 데 시간이 필요했으나, 뭐가 그렇게 급했던지, 그리고 얼마나 아는 게 많다고 "실천이 뒤따르지 않는 지성은 생명 없는 지식이다" 는 거창한 구호 아래 한참 뒤늦게 그 일에 뛰어 든 나는 우선 현장부터 보고 싶었고, 현장에 가서보니 오갈 데 없는 20여명이 생활하는 허름한 창고건물에 말이 좋아 갱생이지 넝마주이로 그날그날 생명을 연장해 가고 있는 소위" 양아치" 소굴이라고 해야 옳은 곳이었다.
뭔가 해 보자고 큰소리는 쳐 놓고 왔으나 그 당시  우리 힘으로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 지 도저히 감이 오질 않았다. 할 수 있는 것을 찾다보니 중학생 또래부터 20세 미만의 젊은 친구들 10여명을 대상으로 검정고시 대비 야학을 하기로 결정하고 사범대 학생 3~4명을 중심으로 학사편성을 하고 하루 두시간씩  주3회가량 야학을 시작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기억도 희미할 `사랑의 집`의 시작이 그랬다.
기금 마련을 위해 졸업식장 앞에 모두 흩어져서 꽃다발을 팔고, 일일다방을 하고 회비를 갹출해 가면서 몇 군데에 도움도 청해 봤지만 기대를 했던 게 잘못이었다.
뚜렷한 성과도 없었지만 사회로부터 버림받은 저들과의 처음 약속을 버리지 못하는 나약함이 그 일을 1년간 지속하게 했다. 열악한 위생환경과 교통, 빈약하고 합목적성이 결여된 프로그램으로 나중에는 나와 사범대 여학생 단둘이 이끌어가는 상황에 이르고, 원생중에 한명인 조영래가 폐결핵으로 사망하는 일이 생긴 뒤에 그 일을 접게 된다.  세상에 태어나서  스물도 못된 나이에 어디서 태어나 세상언저리를 배회하다가 병마로  길거리에 쓰러져 죽은 젊은이의  얇은 널판지 관을  앞에 놓고,  막연했던 기도와 찬송을 부르는 순간을 나는 영원히 잊을 수가 없다.

애시 당초 빵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무슨 방정식이 필요하고, 나랏말도 아닌 영어가 무슨 소용이겠는가,
그저 부모 잘 만나서 대학가방 들고 거들먹거린 죄책감과 능력도 의지도 계획도 없이 시작한 일의 끝이니 비참하기가  짝이 없었다.

잊고 있었던 일이 결혼하고 애들이 자라고, 언젠가 이사하던 중에 우연히 아내가 꺼내 든 사진 한 장 속에 고스란히 되살아난다.
이상한(?) 사람들과 찍은 사진 한 장, 집사람은 경이로운 이 사진에 호기심이 가득하다. `이게 무슨 사진 ?`
`그런 시절이 있었어,` 자초지종을 설명하기엔 턱없이 부끄러웠다.

보람 없이 끝이 난 부끄러웠던 그 일처럼,  최고나 정상과는 거리가 먼 나의 짧은 인생이지만 이 일로 인하여 항상 소외된 소수에게 시선이 머물게 되고, 승자의 편에 서서 환희를 구가하는 데에는 아직도 어색하기만 할 것 같다.  패배한(?) 소수의 목소리와 그들의 숨결에 다가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그런 인생의 궤도를 타고 있는 것, 그런 것들이  온당한 삶의 가치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게 그 일이 나에게 준 유일한 위안거리이다.

생떼같이 취급받고, 억지와 반대만 하는 듯이 매도당하는 현장,
정신대할머니문제와 용산참사 피해자 가족, 나아가 독도문제와 팔레스타인문제가 그것이요.
이미 지난 일이 되었지만 언론법 개정을 다수의 힘으로 밀어붙이는 때에  국회에서의 난투극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하겠으나,  `왜 그렇게 까지 하지 않으면 안 되었을까?` 이 또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려 한다.
강자의 역사에 약자들, 거기에서도 소외된 소수는 이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우리에게 던지는가,
최근 워싱턴 한국일보에 기획 연재되고 있는 `양극화, 대한민국이 갈라진다`는 우리에게 커다란 숙제의 현장을 짚어주고 있다.
이건 윤리도 도덕도 없다. 살아남은 자가 도덕이요 가치이다.
기업 현장에서 상생이란 비웃음의 대상이 된지 오래고, 끝없이 추락하는 다수의 서민고통은 임계점을 지나도 그건 각자의 몫으로 관심대상이 아니다. 비단 한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고 해서 지나 칠 일인가,
소외된 다수는 사회의 위기지수를 폭발적으로 끌어 올려서 사회 통합의 제일 저해요소로 작용한다. 그 발단은 소외된 소수의 보호 유무에서 시작된다.
이렇게 소외된 소수에 대한  참작과 배려가 없는 사회에서는 갈수록 문제 회피적인 군상들만 교육되고, 실패와 낙오를 피해 가기 위해 엄청난 보이지 않는 사회비용을 지불해야 되는 사회가 건강할 수 없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할 것이요.
젊었을 때 개인적으로 겪었던 아픔이 되풀이 되지 않기를 진심으로 열망한다.




2010. 7. 2

사람사는 세상  워싱턴

강창구


아래 사진은 사진찍기를 회피하거나 아직 일터로 복귀하지 않는 사람을 빼고 찍은 사진으로,  옆쪽에 서있는 어린애가
75년생쯤이니 35세된 중년가정주부가 되어 있겠네요. 지원동 무등중 앞에 있던 무등갱생원의 1978년 새봄모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개인정보보호방침입단신청서 내려받기상단으로
 
광주흥사단 주소 61477 광주광역시 동구 독립로226번지 13-3 (수기동 5-4)
전화번호 062)223-6659 팩스번호 062)223-4885 대표 정필웅 이메일 gjyka@hanmail.net

COPYRIGHT © 2024 gjyka.or.kr, gwangju young korean academ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