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는 삼각지
페이지 정보
본문
대학 1학년, 가을
화순 송석정으로 전대 1학년 약 80명이 야영( M/T) 갔는데, 지도단우로 고광업형님과, 몇분의 3학년 선배님들이 참석, 밤이 깊어가면서 대중가요에 대한 회피적 분위기와 가곡등 깊이 있는 음악세계에 대한 논쟁이 약간의 술기운과 함께 신구 세대간에 격론이 있었다. 지나는 가을에 스치는 개인적 단상을 단우님들과 나눕니다.
갑자기 고 고광업선배단우가 이 가을에 그리워집니다.
돌아가는 삼각지
1971년 11월 7일 ,
‘누가 울어’, 안개낀 장춘단 공원’을 부르던 불세출의 가수 배호가 29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거의 40년전의 일이다.
그 때 나는 중학교 2학년쯤일 테니 동네 형들과 고갯길 넘으면서 밤에 휘파람은 귀신을
불러모은다는 음산한 괴담도 뒤로한 체 ‘영시의 이별’을 따라 불렀다.
아직 변성기가 오지 않았던 탓에 좀 더 조숙한 친구들이 배호의 걸쭉한 목소리를 흉내내면서 목소리를 내려 깔면 덜 자란 수컷의 엉거주춤한 따라하기는 어설프기가 짝이 없었겠지만
그시절 서로 남자임을 확인하는 일종의 절차 같은 비장감도 있었다.
텔레비전이 없던 시절이니 노래부르는 사람의 형상을 까만 레코드판 겉표지의 그림으로 짐작해야 했고, 건방지게 뒤돌아 보듯한 복실한 귀공자 스타일의 가수 배호는 신비로울 수 밖에 없는 존재이기도 했다.
노랫가사를 각색해서 만든 영화 ‘돌아가는 삼각지’ 에서 배우 문희와 김희라가 비내리는 삼각지에서 만나기로한 약속을 지켜내지 못하고 울면서 돌아가는 장면과 함께 백업되는 배호의 노래는 나의 애창곡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배호의 삼촌이자 작곡가 김광빈씨는 배호의 노래를 ‘절규’라고 했다.
저음을 기반으로 음계의 한계를 넘나드는 고음이 없이는 절규가 되지 않는다. 그 절규가
리듬으로 다듬어져서 저 밑바닥을 긁어 올리는 듯한 신비의 음색은 ‘고독’의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때까지 대중가요 가수들의 목소리에 익숙해 있던 국민들에게는 무슨 ‘뒷골목 깡패’의 목소리니, ‘환자의 목소리’라느니 부정적인 평가들이 있었던 사실을 뒤로하고 작곡가 전우와 배상태를 만나면서부터 폭발적인 인기몰이를 하게 된다.
여성들에게는 고독이 뚝뚝 떨어지는 외로운 남자, 말못하는 순정의 전도사로 다가섰고,
남자들에게는 어쩌면 편안하게 따라 흉내 낼 것 같은 저음의 깔린 목소리에 누구나가 한두번쯤 겪었을 법한 노랫말이 그들을 매료시켜 나갔다.
수많은 음악의 장르가 현존하지만 일반인들이 접하는 노래나 음악이라는 게 학교에서 배우는 범주와 방송전파를 통해서 얻게되는 게 고작이었던 시절이었으니 서민들과 동고동락하는
애환이 곡과 가사에 그대로 녹아있게 마련이고, 추억의 사진을 통해서 아름답던 때를 기억해 내기도 하지만, 항상 언제 어디서건 꺼낼 수 있는 애창곡이야말로 사진이 가지지 못하는 편리함까지 대신해 주고도 남기 때문에 ‘애창곡’이야말로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의 창작도구이기도하다.
배호는 그가 노래했던 ‘마지막 입새’ 처럼 해방전이던 1942년 중국 산동에서 태어나
휴전후 14살 어린나이에 피난지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와 드러머와 악단생활을 거치며 얻은 신장염으로 퉁퉁 부은 얼굴과 가뿐숨을 모아쉬어 가면서 홀어머니를 뒤로하고 젊은 생을 마치게 된다.
가을이 되고, 더구나 11월이 되면, 끈질기게 남아 있던 마지막 잎새처럼 생의 애착을 노래에 실어 오늘까지 전해 주는 천상의 가수 배호가 더욱 그리워 진다.
2010' 11' 6
화순 송석정으로 전대 1학년 약 80명이 야영( M/T) 갔는데, 지도단우로 고광업형님과, 몇분의 3학년 선배님들이 참석, 밤이 깊어가면서 대중가요에 대한 회피적 분위기와 가곡등 깊이 있는 음악세계에 대한 논쟁이 약간의 술기운과 함께 신구 세대간에 격론이 있었다. 지나는 가을에 스치는 개인적 단상을 단우님들과 나눕니다.
갑자기 고 고광업선배단우가 이 가을에 그리워집니다.
돌아가는 삼각지
1971년 11월 7일 ,
‘누가 울어’, 안개낀 장춘단 공원’을 부르던 불세출의 가수 배호가 29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거의 40년전의 일이다.
그 때 나는 중학교 2학년쯤일 테니 동네 형들과 고갯길 넘으면서 밤에 휘파람은 귀신을
불러모은다는 음산한 괴담도 뒤로한 체 ‘영시의 이별’을 따라 불렀다.
아직 변성기가 오지 않았던 탓에 좀 더 조숙한 친구들이 배호의 걸쭉한 목소리를 흉내내면서 목소리를 내려 깔면 덜 자란 수컷의 엉거주춤한 따라하기는 어설프기가 짝이 없었겠지만
그시절 서로 남자임을 확인하는 일종의 절차 같은 비장감도 있었다.
텔레비전이 없던 시절이니 노래부르는 사람의 형상을 까만 레코드판 겉표지의 그림으로 짐작해야 했고, 건방지게 뒤돌아 보듯한 복실한 귀공자 스타일의 가수 배호는 신비로울 수 밖에 없는 존재이기도 했다.
노랫가사를 각색해서 만든 영화 ‘돌아가는 삼각지’ 에서 배우 문희와 김희라가 비내리는 삼각지에서 만나기로한 약속을 지켜내지 못하고 울면서 돌아가는 장면과 함께 백업되는 배호의 노래는 나의 애창곡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배호의 삼촌이자 작곡가 김광빈씨는 배호의 노래를 ‘절규’라고 했다.
저음을 기반으로 음계의 한계를 넘나드는 고음이 없이는 절규가 되지 않는다. 그 절규가
리듬으로 다듬어져서 저 밑바닥을 긁어 올리는 듯한 신비의 음색은 ‘고독’의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때까지 대중가요 가수들의 목소리에 익숙해 있던 국민들에게는 무슨 ‘뒷골목 깡패’의 목소리니, ‘환자의 목소리’라느니 부정적인 평가들이 있었던 사실을 뒤로하고 작곡가 전우와 배상태를 만나면서부터 폭발적인 인기몰이를 하게 된다.
여성들에게는 고독이 뚝뚝 떨어지는 외로운 남자, 말못하는 순정의 전도사로 다가섰고,
남자들에게는 어쩌면 편안하게 따라 흉내 낼 것 같은 저음의 깔린 목소리에 누구나가 한두번쯤 겪었을 법한 노랫말이 그들을 매료시켜 나갔다.
수많은 음악의 장르가 현존하지만 일반인들이 접하는 노래나 음악이라는 게 학교에서 배우는 범주와 방송전파를 통해서 얻게되는 게 고작이었던 시절이었으니 서민들과 동고동락하는
애환이 곡과 가사에 그대로 녹아있게 마련이고, 추억의 사진을 통해서 아름답던 때를 기억해 내기도 하지만, 항상 언제 어디서건 꺼낼 수 있는 애창곡이야말로 사진이 가지지 못하는 편리함까지 대신해 주고도 남기 때문에 ‘애창곡’이야말로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의 창작도구이기도하다.
배호는 그가 노래했던 ‘마지막 입새’ 처럼 해방전이던 1942년 중국 산동에서 태어나
휴전후 14살 어린나이에 피난지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와 드러머와 악단생활을 거치며 얻은 신장염으로 퉁퉁 부은 얼굴과 가뿐숨을 모아쉬어 가면서 홀어머니를 뒤로하고 젊은 생을 마치게 된다.
가을이 되고, 더구나 11월이 되면, 끈질기게 남아 있던 마지막 잎새처럼 생의 애착을 노래에 실어 오늘까지 전해 주는 천상의 가수 배호가 더욱 그리워 진다.
2010' 11' 6
- 이전글가슴 아픈 과거가 내 어깨위에 있음을 오늘 고백합니다. 10.11.16
- 다음글박수치는 사람, 박수받는 사람 10.1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